국가별기도정보

2017.08.02 11:45

태국(THAILAND)

조회 수 3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태국(THAILAND)

 

 

기도제목

 

1. 태국(Thailand)은 “자유의 땅”(Land of Free)을 뜻한다.
주변국이 서구 열강의 식민지였을 때에도 태국은 자유를 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교, 전통문화, 진혼, 심지어 주술적인 관습까지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이것을 뚫고 밖으로 나갈 엄두조차 내지 못할 정도로 사회적 응집력이 강하다. 태국인에게는 국적과 종교가 연결되어 있는 불교의 나라이다. 집집마다 불단을 세우고 시간마다 기도하는 철저한 생활불교이다. 헛된 우상이 속히 무너지게 하시고, 태국인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적 돌파구를 찾아서 진정으로 자유로워지도록 기도하자.

 

2. 태국은 파타야, 푸켓, 피피섬 등 아름답고 매력적인 관광의 나라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성적 문란함과 향락문화가 성행하는 어두움의 땅이다. 주님께서 그 태국의 어두움을 빛으로 바꾸어 주시도록, 이 세상 쾌락과 부위과 바꿀 수 없는 주님만이 우리에게 주시는 구원의 은혜를 경할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

 

3. 교회성장은 매우 미미하다.
4세기 동안의 가톨릭 사역과 200년 동안의 개신교 사역에도 불구하고 태국의 기독교인은 인구의 1%밖에 되지 않는다. 많은 선교사와 프로그램이 있지만 개신교 성장은 미미하다.
(1)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 태국 복음주의 연합은 가장 큰 개신교 단체이며, 교회 전체를 연결하는 큰 공동체이다. 이들 단체는 주류 종파에서 보수 종파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종파를 관리하고 교제한다. 이들이 단결하고 효과적으로 협력하며 더욱 성장하도록, 그리고 이들 단체에 갱신의 물결이 일도록 기도하자.
(2) 태국교회는 진정으로 토착화되어야 한다. 복음은 서구의 장식품을 적당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상황화를 이루어야 한다. 세계관이 심각하게 분열된 불교 문화권에서 사역하려면 복음의 상황화는 필수적이다. 태국 음악, 찬송가, 미술, 예배 형태, 건축, 지도자 유형을 위해 기도하고, 성령이 인도하시는 대로 성경 연구와 복음 증거가 고무되고 개발되도록 기도하자.

 

 

출처: Wikipedia

 

 

국가명

▣ 국문: 태국 왕국
▣ 영문: Kingdom of Thailand

 

 

정치체제

▣ 정부형태: 입헌군주제
▣ 국왕: 푸미폰 아둔야뎃(Bhumibol Adulyadej), 1946년 즉위
▣ 총리: 프라윳 찬오차 (Prayuth Chan-ocha), 2014년 8월 취임
▣ 국회: 양원제, 상원 150명, 6년 임기, 하원 500석, 4년 임기
▣ 주요 정당: 프어타이당(Pheu Thai Party) 265석, 민주당(Democrat Party) 159석, 품짜이타이당(Bhumjaithai Party) 34석
행정조직
▣ Deputy Prime Minister: 5명
▣ Deputy Minister:11명
▣ Minister: 19명

 


지리

▣ 경위도: 동경 100°, 북위 15°
▣ 국토면적: 513,120㎢(대한민국 국토면적의 약 5배)
▣ 국경: 4,863㎞
▣ 접경국
  미얀마(Myanmar) 1,800㎞
  라오스(Laos) 1,754㎞
  캄보디아(Cambodia) 803㎞
  말레이시아(thailand) 506㎞
▣ 특이사항: 자연재해가 많으며, 지하수층 고갈로 방콕지역의 지반 붕괴위험이 있음. 아시아에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로 통하는 유일한 육로

 

 

기후
▣ 일반: 열대몬순 기후
▣ 기온: 연평균 25.3℃~29.5℃
▣ 강수량: 연평균 1,000-1,600㎜

 

 

인구
▣ 전체 인구: 6,795만 명 (CIA, 2015년 기준)
▣ 도시 인구: 약 34%
▣ 15세 이하 인구 22%
▣ 평균수명 68.7세

 

 

민족
▣ 총 종족 114개
▣ 타이족(Thai, 78.4%) 4개 주요 종족
▣ 몬-크메르족 1.2%. 25개 종족
▣ 중국계(Chinese, 10.8%)
▣ 말레이족 6.1%. 8개 종족
▣ 티베트-버마족 1.2%. 17개 종족(주요 종족 카렌족 0.9%)
▣ 기타(0.9%)

 


언어
▣ 전체 언어 85, 토착어 74
▣ 공식 언어: 타이어(Thai) 91%
▣ 기타 언어: 영어, 소수민족 및 지방 언어
▣ 문자 해독률 92.6%
▣ 성경이 번역된 언어 신구약 16, 신약 9, 부분 19

 

 

종교
▣ 불교(소승불교): 92.34%
▣ 이슬람교: 5.25%
▣ 기독교: 1.62%(개신교 0.47%, 독립교회 0.43%, 가톨릭 0.42%, 미등록 0.28)
▣ 중국 종교 0.4%
▣ 기타: 0.1%

 


주요도시
▣ 방콕(Bangkok)
▣ 특징: 태국의 수도
▣ 위치: 짜오프라야(Chaopraya) 강의 동쪽에 위치
▣ 인구: 약 927만 (CIA, 2015년 기준)
▣ 기타: 1782년 짜끄리 왕조의 라마 1세가 수도로 세운이래, 약 3천 동안 독립을 유지
▣ 치앙마이(Chiang Mai)
특징: 태국 제2의 도시 (북부지방에서 가장 큰 도시)
위치: 핑강 (Ping River) 연안 위치
인구: 약 165만 명
기타: 2006년 5월 ASEAN+3(한·중·일)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를 체결
▣ 핫야이(Had Yai)
특징: 남부의 메트로폴리탄 지구
위치: 송클라 주
인구: 약 157,359명
기타: 송클라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비즈니스의 중심지 남부의 교통 중심지
▣ 행정구역: 1개 특별행정구역
▣ 6개 지방(region)
▣ 77개 주 (province)

 

 

경제
▣ 태국의 2010년 경제성장률은 7.8%로 2009년 -2.3%에 비해 높은 수준을 기록함.
▣ 태국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 연평균 3.7%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신흥개발도상국(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그룹의 경제성장률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2015년 5%, 신흥개발도상국 평균 6.7% (IMF(2011.9), World Economic Outlook)
▣ 2010년 태국의 GDP는 3,19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같은 해 우리나라의 GDP는 1조140억 달러(세계 14위)임.
▣ 1차 산업: 농업·수렵·임업 8%, 어업 0.8%, 광업 3%
▣ 2차 산업: 제조업 27% , 전력·가스·용수산업 3% , 건설업 3%%
▣ 3차 산업: 도소매업 15%, 호텔외식업 4%, 운수통신업 7%, 금융중개업 8%, 부동산업 7%, 공공서비스업·군수·사회보장서비스업 6%, 교육업 4%, 보건복지산업 2%, 기타 서비스업 2%, 가사 서비스업 0.2%
▣ 농업: 쌀, 카사바(타피오카), 고무, 옥수수, 사탕수수, 코코넛, 콩 등
▣ 에너지 산업: 천연가스 (세계 25위), 석유 (세계 33위)
▣ 제조업: 섬유, 신발, 플라스틱, 가구, 자동차, 컴퓨터, 가전제품 등
▣ 산업 광물자원 풍부, 세계 2위의 텅스텐 생산국
▣ 주요자원: 텅스텐, 주석, 천연고무, 천연가스, 납, 석고, 갈탄, 목재 등
▣ 1인단 GDP 4,187달러

 

 

교통
▣ 특징: 하천과 운하발달, 버스, 택시, 오토바이 등이 운행
▣ 대표 항구: 방콕 항구 (Port of Bangkok, 크롱떠이), 람차방 항구(Port of Laem Chabang, 촌부리), 라농 항구(Port of Ranong, 라농), 시라차 항구(Port of Si Racha, 촌부리)
▣ 공항수: 총 105개
▣ 국제공항
수완나품 국제공항(Suvarnabhumi Airport, 방콕)
치앙마이 국제공항(Chiang Mai International Airport, 치앙마이)
치앙라이 국제공항(Chiang Rai International Airport, 치앙라이)
핫야이 국제공항(Hat Yai International Airport, 핫야이)
푸켓 국제공항(Phuket International Airport, 푸켓)
우따파오 국제공항(U-Tapao International Airport, 라용)
우돈타니 국제공항(Udon Thani International Airport, 우돈타니)
후아힌 국제공항(Hua Hin International Airport, 후아힌)
▣ 도로: 총 약 180,053㎞
▣ 철도: 총 약 4,071㎞

 

 

관광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아유타야 역사유적(Historic City of Ayutthaya)
위치: 중부 아유타야 주
등재연도: 1991
특징:크메르 왕조의 신왕 사상과 브라만 사상을 융합한 사원. 현존하는 사원들은 아유타야 왕조 성립 이후 150년 안에 지어진 것임.
▣ 수코타이 역사유적(Historic Town of Sukhothai and Associated Historic Towns)
위치: 중부 수코타이 주
등재연도: 1991
특징: 태국건축의 시초를 알려주는 수많은 유명 기념물이 산재
▣ 반 치앙 고고유적(Ban Chiang Archaeological Site)
위치: 동북부 우돈타니 주
등재연도: 1992
특징: B.C 2100년-A.D 200년 사이의 선사시대 유적지.이 지역의 초기 농경과 금속 제조기술을 나타냄.
▣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 툰야이 후아이 카켕 야생동물 보호구역 (Thungyai-Huai Kha Khaeng Wildlife Sanctuaries)
위치: 방콕으로부터 북서쪽으로 300㎞ 떨어진 미얀마 국경지대
등재연도: 1991
특징: 천연상태로 보존된 동남아시아 모든 삼림형태의 모범사례. 거대포유류(코끼리, 호랑이 등)의 77%, 거대조류의 50%, 육지 포유동물의 33%가 발견됨.
▣ 동 파야엔-카오 야이 숲(Dong Phayayen-Khao Yai Forest Complex)
위치: 중부, 동부, 동북부 등에 속한 사라부리 주 나콘나욬 주, 나콘라차시마 주, 쁘라친부리 주, 부리람 주 등에 걸쳐있음. 캄보디아와의 국경지대를 포함.
등재연도: 2005
특징: 열대우림의 산림. 포유류, 조류, 파충류가 다양하게 서식

 

 

역사
▣ 기원
태국에 정착한 타이 너이(Thai Noi)라고 불리는 유민들이 오늘날 태국인의 조상
651년 중국 운남성(Yunnan)에 난짜오왕조(Nanchao)를 건립
▣ 주요사건
1238 : 수코타이왕조(Sukhothai)
1351 : 아유타야왕조(Ayutthaya)
1782 : 라따나꼬신왕조(Rattanakosin)
1822 : 영국과 무역협정 체결
1855 : 보우링조약(Bowring treaty)체결
1930 : 샴공산당(Communist Party of Siam) 결성
1932 : 인민당에 의한 혁명, 입헌군주제 헌법 채택
1939 : 샴에서 태국(Thailand)로 국호개칭
1941 : 일본과 동맹으로 2차 세계대전 가담
1951 : 라마 9세(Rama IX) 푸미폰아듄야뎃(Bhumiobol Adulyadej) 귀환
1957 : 싸릿(Sarit)장군 쿠데타
1963 : 타넘(Thanom)총리, 쁘라팟(Praphat)부총리 체제 등장
1973 : 학생봉기, 타넘, 쁘라팟, 나롱 망명
1976 : 끄리앙싹(Kriangsak)의 유혈쿠데타, 우익민간정부 등장
1977 : 끄리앙싹 두번째 쿠데타 이후 총리
1992 : 수찐다(Suchinda) 총리 하야 요구, 대규모 민주항쟁(Black May) 발발
1995 : 반한 총리의 국가개발당에 의한 연립정부 출범
1996 : 반한정부 붕괴, 총선 이후 차왈릿(Chavalit) 새희망당 연립정부 구성
1997 : 경제위기, 1997년 헌법(People"s Constitution)제정
1998 : 탁신(Thaksin Shinawatra) 타이락타이(TRT, Thai Rak Thai)당 창당
2000 : 최초의 상원의원선거 실시
2001 : 타이락타이 압승과 탁신 총리 취임
2005 : 탁신 재집권
2006 : 쿠데타로 탁신 축출
2008. 1 : 사막(Samak) 총리 선출
2008.12 : 아피시트(Abhisit) 총리 취임
2010. 3 : 친 탁신 세력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유혈충돌
2011. 5 : 아피시트 총리가 국회 해산
2011. 7 : 조기 총선으로 지역구 375명, 비례대표 125명의 하원의원 선출, 최초 여성 총리인 잉락 친나왓 취임
2014. 8 : 프라윳 찬오차 총리 취임

 

 

 

 

 


[참고자료]
외교통상부
주태국대사관
한국수출입은행
CIA, The World Fact Book
UNESCO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USGS)

 

 

 

 

KM Weekly 보기

http://kwma.org/data_press/19326

 

 


  1. 벨라루스(BELARUS)

    Reply0
    Read More
  2. 감비아공화국(Republic of the Gambia)

    Reply0
    Read More
  3. 몽골(MONGOL)

    Reply0
    Read More
  4. 알제리(ALGERIA)

    Reply0
    Read More
  5. 카자흐스탄(KAZAKHSTAN)

    Reply0
    Read More
  6.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Reply0
    Read More
  7. 몰도바(MOLDOVA)

    Reply0
    Read More
  8. 리비아(LIBYA)

    Reply0
    Read More
  9. 러시아(RUSSIA)

    Reply0
    Read More
  10. 이란(IRAN)

    Reply0
    Read More
  11. 아랍에미리트(ARAB EMIRATES)

    Reply0
    Read More
  12.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

    Reply0
    Read More
  13. 타지키스탄(TAJIKISTAN)

    Reply0
    Read More
  14.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

    Reply0
    Read More
  15. 키르기스스탄(KYRGYZSTAN)

    Reply0
    Read More
  16. 파키스탄(PAKISTAN)

    Reply0 file
    Read More
  17.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

    Reply0 file
    Read More
  18. 태국(THAILAND)

    Reply0
    Read More
  19. 부탄(BHUTAN)

    Reply0 file
    Read More
  20. 말레이시아(MALAYSIA)

    Reply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